(주)케이에스엔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
메인 메뉴

메인 콘텐츠

home > 고객지원 > 공지사항

공지사항

게시물 정보 열람
글 제 목 실무전문가와 함께하는 Q&A-17회
작 성 자 관리자 2010.02.17, 3515 hit, 0 votes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실무전문가와 함께하는 Q & A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냉동공조신문 참조
1. 파트와인딩 기동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
Question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
비처 스크류냉동기입니다.  컴프레서 용양은 210kw, 기동방식은 파트와인딩(partwinding)방식,
사용전원은 380V 60Hz입니다.  최대 부하 상태일 때 운전전류가 180~190A 나왔었는데, 제 생각엔 
운전전류가 좀 작은 것 같ㅋ다는 생각이 듭니다.      
파트와인딩 방식에서의 전류값 산출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.  스타델타의 경우 "압축기 용량/
인가전압/√3"으로 알고 있는데요.  각 상(u.v.w.x.y.z)에서 측정되는 암페어와 위 방식으로 한 계산
상 나오는 암페어와의 상호관계가 있는 건가요?  예를 들면 풀부하 시의 운전전류가 100A 라면 각
상당 측정되는 전류치와의 관계, 측 그냥 메인에서의 전류만 측정하면 되는 것인지요?
1호기 냉매(R-22)의 압력은 고압 11Kg/cm2, 저압은 3Kg/cm2였고 토출가스의 온도는 80~90 정도
됩니다.            
2호기 냉매의 압력은 고압 7Kg/cm2, 저압 1.5~2Kg/cm2이며 토출가스 온도는 103였고, 곧 "inside
protection" 이라는 컴프레서 내 보호장치의 작동으로 에러 발생(연동제어회로로 2호기의 냉각수,
냉수펌프의 정지로 1호기까지 유량부족으로 정지되는 현상) 후 용량제어 시 75%까지는 나지 않았던
소음이 100%가 되었을때 나기 시작합니다.      
소음이 나는 곳은 압축기 코일과 로터 연결부근(신설장비임)입니다.  오일의 색깔도 약간 열화된
것같이 보이고 운전  중 유면계는 꽉차있었습니다.      
냉매의 부족으로 인한 토출가스 온도의 상승인 듯싶어 냉매를 보충했는데도 역시 토출가스온도는
사정없이 오르더군요.  그래서 다음에 갈 때는 오일교환 및 냉매 전량 방출 후에 재충전, 석션스트레
이너 점검, 트라이어 교환들을 해볼 계획입니다.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
Answer      
어떤 기동방식이든 같은 용량의 압축기라면 이론적으로는 전부하 전류는 같습니다.  결국 계산식도
같다고 봐야죠.  파트와인딩 기동방식은 직입기동의 한 변형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싶습니다.
파트와인딩 기동방식을 채용하는 이유는 스타-델타 기동방식과 같이 처음 기동할 때 기동전류를
적게 하고 무부하로 원활한 기동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.      
2호기 냉매량 부족이 맞을 듯싶기도 하네요.      
첨부파일 미등록
  • 페이스북으로전송

주소 및 카피라이터 메뉴

(주)케이에스엔

로그인

로그인

  • ID저장 보안접속